UX Writing

1. LINE의 UX Writer 는 어떤 역량을 갖춰야할까?

밤비리 2021. 1. 7. 15:53

글을 읽기는 싫고 뭔가에 집중하고는 싶을 때 팟캐스트를 듣는다.

유엑수다 팟캐스트에는 2019년까지 올라온 콘텐츠들이 다지만 지금 들어도 유용한 내용이 많다.

LINE의 UX Writer, 전주경님이 게스트로 나오셨던 부분은 특히 공부 할 거리가 많아 메모 해두었다.

 

- 라인에서 유엑스 라이터를 채용한다면 어떤 질문을 하실 것 같나요?

케이스 문제를 주겠다. 개발은 이렇게 했고 이 화면 다음엔 이게 나와야 하는데
개발 제약으로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팝업에는 어떤 문구가 들어가야하나?

 

지원자에게 답변을 논리적으로 설명 해달라고 요청 하겠다.
그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체크 할 수 있도록.

어휘도 어떤 어미들을 쓰는지 중요함.
이 어미를 쓰는 이유, 어떤 사용자를 상정했고 어휘의 난이도는 어느 정도이며 지원자의 답이 사용자 행동을 이끌어내는 좋은 트리거 역할이 될지, 논리적인 측면을 체크.

 

- 현재 UX Writer 라는 직군이 등장하게 된 이유?

웹, 컴퓨터 시작 시대에서 UX Writer라는 명칭이 없었을 뿐이지 역할을 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어떻게 전세계 동일한 공간에 동일한 의미로 정리된 언어구조를 사용자에게 제공 할 수 있었을까?
90년대부터. 이미 라이터들은 암약하고 있었기 때문.

요즘 같은 모바일 시대에 라이터가 부상하는 이유는 사람들은 더이상 텍스트 읽지 않기 때문.
팝업 잘 안 읽음. 팝업 타이틀 없어진지 오래 됨.
짧은 버튼, 문구보고 빠른 시간내에 판단함.

그러면 촌철살인 같은 한마디로 사람들의 판단 이끌어내야함.
언어의 양은 줄이고 줄였지만 단어의 퀄리티는 높아져야함.
보컬리티의 언어 작업을 해야하는 역량들이 필요힘.
이는 언어적으로 예민한 사람들이 가능.
훈련된 사람들이 해야하기에 라이터가 각광 받기 시작.

이성의 시대에서 감성의 시대로 넘어온지 오래됐고, 나아가 감성 이상의 것을 추구하는 시대. 
이런 측면에서 고도의 감각이 필요하기에 라이터가 더 활약할 수 있는 환경이라고 생각한다.

 

- UX Writer 에게는 어떤 역량이 필요할까요?

 

문학, 커뮤니케이션, 언어학 언어 관련 베이스 전공.
언어적 감각도 필요하지만 개인적으로 기획자, 설계자로서의 역량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함. 
디자이너와 커뮤니케이션 하는데 도움이 많이 됨.

"설계도를 이해를 한 후에 이건 이런 로직이기에 이 순간엔 이 정보를 제공해야해." 라고 가이드 줄 수 있어야 함.
IA, 설계에 대한 이해력이 갖춰져 있으면 유엑스 라이터의 업무를 좀 더 빠르게 이해 할 수 있음.

 

- 마케터와 유엑스 라이터의 차이?

 

유엑스 라이터 : 정확하고 간결하고 일관적이며 직관적인 메시지를 쓰는 역할
마케터 : 소비 욕망을 잘 끌어올려서 제품을 잘 드러내게끔 해야하는 역할

유엑스 디자이너가 본인이 만든 서비스를 사랑하고 그 서비스에 깊이 몰입되어 있다면 
유엑스 라이터는 시스템 전체를 다 봐야함. 옆 화면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어떤 언어들을 썼고 어느 순간에 Delete 팝업을 썼는지 모두 기억하고 있어야 함. 전체적인 일관성에 맞추는 역할을 해야하기 때문.

서비스 전체의 경험에서 혼자 다른 방향으로 튀면 안되기에.
우리의 전체적인 일관성은 이것입니다. 디자이너들을 설득해야함.
다듬고 달래서 전체적인 align을 맞춰야하는게 힘든 점. 
전체를 꿰 뚫고 governing 하는 역량. 

>봉준호 감독을 '봉테일' 이라고 하잖아요. 봉준호 감독의 작품은 시작부터 끝까지 행동, 대사가 빈틈없이 짜여져 있어서 봉준호+디테일 = 봉테일. 이라고 부르듯이
유엑스 라이터도 서비스 시작과 끝의 경험이 튀는 부분 없이 일관되게 이어 질 수 있도록 관리하는 역할.

 

- 업무에서 가장 신경 쓰는 부분?

 

힘을 주는 부분 : 메인, 메뉴, 서비스명


특히 유엑스 담당자 분들에게 강조하고 싶은 건 에러 메시지를 신경써야 한다는 것.
사용자가 어려움에 처했을 때 사용자를 어떻게 대하느냐가 중요.
에러메시지는 서비스가 사용자를 얼마나 소중하게 대하는지 알 수 있는 부분. 이 상황에 맞게 세분화, 좋은 정보를 제공하는게 중요.

 

 

50분 안되는 팟캐스트라 마음 편하게 들을 수 있다.

UX Writing 이 어떤 것인지, 어떤 역량을 갖춘 사람이 잘 할 수 있는 일인지, 글을 잘 쓰기만 하면 되는 건지 등등... 추상적인 질문에 대한 구체적인 답을 얻을 수 있다.

테크 분야에서 인문학적 소양으로 할 수 있는 의미있는 일 중 하나.

 

www.buzzsprout.com/266562/1297735-s1e9-ux-writer_20190616

 

s1e9: UX Writer_20190616 - 유엑수다

메신저 서비스 Line의 전주경님을 모시고 UX writer에 대해 얘기해 보았습니다.근황 토크게스트 소개UX라이터가 되기까지 UX라이터.  레이블이 많은가? 도시를 만들듯 준비 . UX라이팅의 나쁜 사례

www.buzzsprout.com